본문 바로가기

일상 생활/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

(2)
chap1.1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: 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해주는 개발 방법론 1. 선언형 프로그래밍(declarative programming) : 무엇을 할 것인가 - 함수형 프로그래밍(functional programming) : 순수 함수들을 블록처럼 쌓아 로직을 구현하고 고차 함수를 통해 재사용성을 높임 *순수 함수 : 출력이 입력에만 의존하는 것 (a ,b 를 받아 그것만으로 출력이 나옴) *고차 함수 : 함수가 함수를 값처럼 매개변수로 받아 로직을 생성 2. 명령형 프로그래밍(imperative programming) :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- 객체지향 프로그래밍(OOP, Object-Oriented Programming) : 객체들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의 상호작용을 표현하며 데이터를..
chap1.0 - 디자인패턴 1. 디자인 패턴 : 객체 간의 상호 관계들을 하나의 '규약' 형태로 만들어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. 우리가 프로그래밍할 때 쓰는 React.js, Vue.js, Spring 등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의 기본이 되는 것이 디자인 패턴이다. 우리가 어떠한 방식으로 로직을 구성해햐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. *라이브러리 :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을 모듈화 함, 별다른 규칙(파일명, 폴더명)이 없고 자유롭다. *프레임워크 :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을 모듈화 함, 사용하는 규칙이 있으며 엄격하다. *추상화 : 중요한(핵심적인) 특징을 찾아낸 후 간단하게 표현,여러가지 요소를 하나로 통합하는 방향성 / 개라는 관념을 Dog 이라는 클래스로 정의, Dog 클래스, ..